뉴스
마메디아로프, 소 준결승 진출: 2022 FIDE 그랑프리 베를린 그룹 타이브레이크

마메디아로프, 소 준결승 진출: 2022 FIDE 그랑프리 베를린 그룹 타이브레이크

chansen64
| 0 | 체스 이벤트 보도

2022 FIDE 그랑프리 어제의 경기 결과로 레그 3에서 체스 팬들은 그룹 B와 그룹 C에서 타이브레이크 경기를 보너스로 지켜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룹 B에서는 GM 샤키리얼 마메디아로프가 숨막히는 블리츠 경기에서 개최국의 응원을 입은 GM 빈센트 키머를 간신히 꺾었습니다. 미국 선수들이 맞붙은 그룹 C에서는 GM 웨슬리 소가 GM 샘 샹클랜드에 승리하며 준결승에 진출했습니다. 

준결승 1경기는 3월 29일 수요일 오후 11시(한국 시간)에 시작합니다.

2022 FIDE 그랑프리를 시청하는 방법
2022 세계체스연맹 그랑프리 전 경기의 실시간 기보는 체스닷컴 이벤트 페이지에서 분석과 함께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체스닷컴의 중계(영문)는 체스닷컴TV, 트위치,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체스닷컴라이브 유튜브 채널도 함께 확인해주세요.


그룹 B: 마메디아로프 vs 키머

오늘 타이브레이크에 나선 두 선수는 다른 형태의 마지막 라운드를 치렀습니다. 마메디아로프는 GM 다닐 두보프와 매우 빠른 시간 안에 무승부를 만든 반면, 키머는 이전 그룹 선두였던 GM 레이니어 도밍게스 페레즈를 상대로 훌륭한 경기를 펼쳤습니다. 이번 타이브레이크에서 두 선수가 보여준 승부는 '카탈란 오프닝의 재앙'이라고 부를 수 있겠습니다.

래피드 1경기

분명히, 마메디아로프는 어제 비교적 경기를 빠르게 끝냈기에 오늘 에너지와 창의성이 넘치는 모습이었습니다. 비교적 일반적인 카탈란 오프닝에서 그는 폰을 하나 희생하고 이내 되찾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는 11.h4와 12.g4를 두며 폰 2개를 희생했고 킹사이드 공격을 시작했습니다. 흥미롭게도 컴퓨터는 백의 계획을 좋다고 평가했지만, 이런 형태로 경기를 풀어가는 것은 결코 일반적인 일이 아닙니다. 키머는 임기응변으로 대응했지만, 흑이 불리해지고 이내 경기를 패배하기까지는 몇 수가 걸리지 않았습니다.

Chess.com game of the day dejan bojkov

래피드 2경기

과감한 공격으로 첫 경기를 잡아낸 다음 두 번째 경기는 어떻게 풀어가야 할까요? 이 질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것입니다. 마메디아로프는 안티-메란 바리에이션에서 고도로 이론적이고도 매우 날카로운 보트비닉 바리에이션을 선택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택하지 않을 결정이었습니다. 먼저 수를 튼 것은 12.h4를 둔 키머였습니다.

메인 라인에서 먼저 벗어난 키머. 사진: World Chess.

백이 오프닝에서 이점을 가지는 듯 보였고, 그 이점은 마메디아로프가 부정확한 수를 두자 눈에 띄게 커졌습니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엔드게임에서 두 선수는 모두 실수를 하기 시작했고, 두 선수 모두 상대에게 문제를 안겨줄 좋은 기회를 놓쳤습니다. 결과적으로, 마메디아로프가 킹을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며 키머가 경기를 승리했고 블리츠 타이브레이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블리츠 1경기

제비뽑기의 결과로 래피드 2경기의 기물 색상이 반복되었습니다.

이번 경기에서 두 선수는 안티-메란을 택하지 않고 일반적인 메란 바리에이션으로 들어갔고, 흑이 이내 동등한 포지션을 만들었습니다. 마메디아로프는 키머가 둔 한 번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백의 킹을 무자비하게 공격하며 승리했습니다.

블리츠 2경기

또 한 번의 카탈란 오프닝에서 키머는 위 경기와는 다른 접근 방법을 시도했고, 보다 정상적인 라인에서 매끄럽게 동등한 포지션을 만들었습니다. 마메디아로프는 나이트를 f5 칸으로 움직이며 객관적으로는 흑에게 괜찮지만 백에게 매우 유망한 포지션을 만들었습니다.

그것은 이 경기와 타이브레이크 전체의 광기 어린 결과의 시작이었습니다. 백과 흑 모두에게 기회가 있었고, 흑의 그것이 더 커 보였습니다. 하지만 두 선수 모두 시간이 부족해지며 실수가 연달아 나왔습니다. 결국 키머가 큰 실책을 하며 경기 결과에 마침표가 찍혔습니다.

대결이 끝난 후 마메디아로프는 상대를 칭찬했습니다. "저는 그룹 B에서 그가 최고의 플레이를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매우 훌륭하게 싸우고 있고 아직 젊습니다. 그가 레이팅 2800까지 성장하기를 바랍니다. 저는 그가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유일한 문제라면 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가 어떻게든 잘 해결한다면 그는 최고의 선수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그룹 B에서 키머가 최고의 플레이를 보여줬다고 생각합니다.
—GM 샤키리얼 마메디아로프

실제로 이번 대회에서 좋은 경기력으로 키머의 레이팅은 올랐고, 그는 좋은 경험을 얻었습니다.

승자의 웃음. 사진: World Chess.

그룹 C: 샹클랜드 vs 소

미국을 대표하는 선수들인 샹클랜드&소는 컨트리 음악의 중심지인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온 뮤지션 팀 이름처럼 들리지만, 베를린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는 선수를 가리는 라이벌이었습니다. 지난 두 번의 그랑프리 대회에서 두 선수는 가슴 아픈 시나리오의 희생양이었습니다. 베를린에서 열렸던 첫 번째 대회에서 웨슬리 소는 순항하며 준결승에 진출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미국팀 동료인 도밍게스가 마지막 라운드에서 승리하며 소를 따라잡았고, 이어진 소와의 타이브레이크에서 승리하며 많은 이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그랑프리 두 번째 대회에서 샹클랜드는 GM 드미트리 안드레이킨과 공동 선두를 유지했습니다. 마지막 라운드에서 프랑스의 베테랑 GM 에티엔 바크로를 상대한 안드레이킨은 극적인 역전승을 거뒀습니다. 만약 두 선수가 비겼다면 안드레이킨과 샹클랜드의 타이브레이크가, 바크로가 승리했다면 바크로와 샹클랜등의 타이브레이크가 될 수도 있었습니다. 결국 안드레이킨이 준결승에 올라가며 바크로와 샹클랜드는 모두 탈락했습니다.

래피드 1경기

백으로 한 경기에서 샹클랜드는 마메디아로프처럼 카탈란 오프닝을 선택했지만, 그 경기처럼 불꽃이 튀지는 않았습니다. 오프닝에서 소의 견고하지만 수동적인 플레이로 샹클랜드는 약간의 이점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경기 중반에 약간의 주저하는 움직임으로 인해 흑에게 주도권을 내줬고 소는 정확한 수로 반격했습니다. 거기서부터 소가 이점을 살리며 경기는 완전히 기울었고, 샹클랜드는 래피드 2경기를 앞두고 최악의 상황을 맞이했습니다.

래피드 2경기

웨슬리 소를 이기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하지만 웨슬리 소를 흑으로, 그것도 반드시 승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이기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샹클랜드는 래피드 2경기에서 그것을 해내야 했습니다. 어떻게 해야 했을까요? 먼저 소가 모든 기물들을 교환시키거나 흑을 강제 수순으로 끌고 가서 이길 수 없는 포지션을 만드는 것을 막아야 했습니다. 이미 소가 GM 매그너스 칼슨을 상대로 여러 차례 보여준 것처럼, 상대를 꺾고 싶다면 그런 상황은 무조건 피해야 합니다.

소에게는 행운이 따른 하루. 사진: World Chess.

샹클랜드의 오프닝 선택은 퀸스 갬빗 거절에서 캠브릿지 스프링 바리에이션을 거쳐 들어가는 익스체인지 라인이었습니다. 확실히 특별한 것은 없었지만, 적어도 승리를 위해 경기할 수 있는 포지션이었습니다. 소의 정확한 플레이에 샹클랜드는 교환 희생을 하며 급진적인 선택을 하며 상대를 흔들었습니다. 하지만 소는 흔들리지 않으며 유리한 포지션을 잡았습니다. 하지만 이어지는 부정확한 결정들이 나오며 유리한 포지션은 이내 불리한 포지션으로 바뀌었습니다. 결국 샹클랜드가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꾸는 듯이 보였지만, 백의 g2-g4를 놓치며 g5 룩을 스스로 가두고 말았습니다. 흑이 경기를 계속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에 경기는 사실상 거기서 끝났습니다. 

베오그라드에서의 아쉬운 탈락으로 큰 실망을 한 샹클랜드에게는 베를린도 가슴 아픈 도시로 남게 되었습니다. 한편, 이후 대회에서 소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는 여전히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경기 결과

그룹 타이브레이크 모든 경기

베를린 대회는 올해 FIDE 그랑프리의 마지막 레그입니다. 베를린 대회는 3월 22일부터 4월 4일까지 진행됩니다. 오후 11시(한국 시간)부터 시작하는 실시간 방송을 놓치지 마세요!


이전 기사

FM chansen64님이 쓴 글 더 보기
7라운드 승리로 리드를 벌린 네폼니아치와 카루아나

7라운드 승리로 리드를 벌린 네폼니아치와 카루아나

웨슬리 소, 베를린 대회 우승: 2022 FIDE 그랑프리 결승 타이브레이크

웨슬리 소, 베를린 대회 우승: 2022 FIDE 그랑프리 결승 타이브레이크